산업의 발달과 공해 그리고 고령화 등으로 난청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과거와는 달리 젊은 층에서도 난청인구가 늘고 있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문일준 교수팀이 우리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최소난청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10명 중 3.7명이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일반 경도난청(25dB 음량보다 더 커야 들을 수 있는 난청) 보다는 잘 듣지만 속삭이는 소리를 못듣는 최소난청(15dB)인의 국내 유병률이 37%나 된다는 것은 위험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이번 조사 대상자는 정상고막을 가진 12세 이상 한국인 1만 6천여명으로. 조사에 따르면 최소난청은 나이가 들면서 증가했으며, 남성에게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소난청을 가진 사람 중 13%는 청력 저하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호소했으며, 약 23%는 이명을 동반하는 등 정상 청력자에 비해 삶이 질이 낮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난청보다 증상이 덜 한 탓에 최소난청은 간과되고 있다. 질환 개념 조차 생소해 사회적 관심도 부족한 현실이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최소난청 환자의 청력보조장치(보청기 등) 사용률은 0.47%에 불과했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와 국립노화연구소 공동연구팀에 따르면 노인난청환자는 정상노인보다 치매 발생률이 2~6배 높다고 발표했다.
또 난청환아의 37%는 학업성취도와 자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 교수는 "고령화 사회와 함께 개인 음향기기 사용이 많아지면서 난청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최소난청은 시간이 갈수록 난청으로 진행할 수 있는 만큼 증상이 있으면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난청이 유발 될 경우 이명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조기에 치료를 해야하며, 치료가 어려울 경우 보청기등을 처방받아 착용하는것이 난청진행과 우울증을 예방하고 일상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다.